최근에 그만의 아이디어에 올라온 글 가운데 댓글이 많은 글들만 몇 개 추려봤습니다.(괄호 속의 댓글 수에는 그만이 적은 덧글도 포함됩니다..^^)
말하기 싫게 만드는 말 10 (19) | 10:22:00
[오늘의 댓글] 알몸 투시기와 Backscatter 사이[Updated] (9) | 2006/12/04
노 대통령을 비난하는 이유와 칭찬하는 이유 (11) | 2006/12/01
'땅콩 버터 쓴맛 본' 다음, 기본기 다지기 주력 (10) | 2006/11/28
외래어 딜레마 (15) | 2006/11/28
그만이 상상하는 프로 블로거의 세계 (36) | 2006/11/21
[아쉬운] 오픈웹투콘을 마치고 (19) | 2006/11/19
그만은 가급적 댓글에 덧글을 달려고 무수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블로그는 소통이라 믿기 때문이죠.
다행스럽게도 그만의 건조한 글에 많은 분들이 매우 긍정적이고 정보성 높은 글을 달아주셨습니다.
극히 일부 비아냥이나 악성댓글이 한 두개 포함돼 있기도 하지만 이마저도 그만은 소통이라 믿습니다.
어떤 분은 포스트를 좀더 아름답게 만들어주시고 좀더 정보성 높은 콘텐츠로 다듬어주십니다. 그만은 일부 댓글에 영향을 받아 포스트 자체를 수정하거나 가필을 하고 이를 알려주기도 합니다.
또는 그만은 수많은 관련글을 찾아 헤맵니다. 도움이 되는 글도 있고 결과적으로 허무한 글이 있지만 그만큼 그만의 검색 실력도 늘고 있습니다.^^ 단 몇 줄의 포스팅에도 그만은 영향을 받으며 끊임없이 이어져 있는 보기 불편한 글을 꾸역꾸역 읽으면서도 필요한 것은 머릿 속에 구겨넣습니다. 수십, 수백개씩 달린 댓글을 보면서 그만은 우리 지식 자산의 롱테일을 생각합니다.
오늘 그만은 아래 글을 읽었습니다.
비난과 비방만이 넘쳐나는 블로그 글들... [체리필터의 인생 이야기]
댓글이 중요한 이유 [블로그라띠]
블로그 포스팅의 내용을 문제 삼는 글이라거나 블로고스피어의 다양한 논란과 반박들, 그리고 댓글에 대해 우려하는 시각이 존재하는 것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만은 늘 긍정적입니다. 수많은 이러저러한 쓰레기 논쟁을 벌이는 이유도 사실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왜 비난과 비평이 어떻게 다른지 우린 가슴 속으로 알고 있지 않습니까?
좋은 글과 나쁜 글을 구분하는 사람은 쓴 사람이 아니라 보는 사람입니다. 누구도 어떤 것이 블로그다 라고 정의내리기 힘든 것은 이 때문이겠죠.
콘텐츠의 품질은 이용자와 소비자가 판단합니다.
그만의 믿음은 쭉~ 계속 됩니다.~^^
말하기 싫게 만드는 말 10 (19) | 10:22:00
[오늘의 댓글] 알몸 투시기와 Backscatter 사이[Updated] (9) | 2006/12/04
노 대통령을 비난하는 이유와 칭찬하는 이유 (11) | 2006/12/01
'땅콩 버터 쓴맛 본' 다음, 기본기 다지기 주력 (10) | 2006/11/28
외래어 딜레마 (15) | 2006/11/28
그만이 상상하는 프로 블로거의 세계 (36) | 2006/11/21
[아쉬운] 오픈웹투콘을 마치고 (19) | 2006/11/19
그만은 가급적 댓글에 덧글을 달려고 무수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블로그는 소통이라 믿기 때문이죠.
다행스럽게도 그만의 건조한 글에 많은 분들이 매우 긍정적이고 정보성 높은 글을 달아주셨습니다.
극히 일부 비아냥이나 악성댓글이 한 두개 포함돼 있기도 하지만 이마저도 그만은 소통이라 믿습니다.
어떤 분은 포스트를 좀더 아름답게 만들어주시고 좀더 정보성 높은 콘텐츠로 다듬어주십니다. 그만은 일부 댓글에 영향을 받아 포스트 자체를 수정하거나 가필을 하고 이를 알려주기도 합니다.
또는 그만은 수많은 관련글을 찾아 헤맵니다. 도움이 되는 글도 있고 결과적으로 허무한 글이 있지만 그만큼 그만의 검색 실력도 늘고 있습니다.^^ 단 몇 줄의 포스팅에도 그만은 영향을 받으며 끊임없이 이어져 있는 보기 불편한 글을 꾸역꾸역 읽으면서도 필요한 것은 머릿 속에 구겨넣습니다. 수십, 수백개씩 달린 댓글을 보면서 그만은 우리 지식 자산의 롱테일을 생각합니다.
오늘 그만은 아래 글을 읽었습니다.
비난과 비방만이 넘쳐나는 블로그 글들... [체리필터의 인생 이야기]
댓글이 중요한 이유 [블로그라띠]
블로그 포스팅의 내용을 문제 삼는 글이라거나 블로고스피어의 다양한 논란과 반박들, 그리고 댓글에 대해 우려하는 시각이 존재하는 것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만은 늘 긍정적입니다. 수많은 이러저러한 쓰레기 논쟁을 벌이는 이유도 사실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왜 비난과 비평이 어떻게 다른지 우린 가슴 속으로 알고 있지 않습니까?
좋은 글과 나쁜 글을 구분하는 사람은 쓴 사람이 아니라 보는 사람입니다. 누구도 어떤 것이 블로그다 라고 정의내리기 힘든 것은 이 때문이겠죠.
콘텐츠의 품질은 이용자와 소비자가 판단합니다.
그만의 믿음은 쭉~ 계속 됩니다.~^^